누가복음 7:36-50   <죄가 사하여졌도다>

예수께서 여인에게 기름부음을 받으신 사건이 두 번 있었습니다. 예수께서 죽음을 눈앞에 두고 마지막 안식일에 유대 베다니에서 있었던 사건과 그보다 훨씬 앞서 갈릴리 사역 중에 죄 많은 한 여인이 죄사함을 받은 사건입니다.

오늘 본문에 예수에 대하여 적대적인 바리새인이 예수를 자신의 집에 식사 초대한 것이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습니다. 아마 이 바리새인은 예수님에 대하여 많은 관심과 의혹이 있었고, 호기심이 있었던 모양입니다.

그리고 36절에는 예수와 바리새인과 더불어 또 다른 주요 인물이 등장하는데, 죄를 지은 여인이 바리새인의 집에 감히 불쑥 들어왔다는 것이 이례적인 일입니다. 이 여인은 사람들에게 거절과 능욕을 받을 수 있는 자리였는데 초대받지 않은 자리에 들어온 것입니다. 죄를 지은 여자라 했는데 이로 보아 창기로 여겨집니다. 왜냐하면 당시 유대 사회에서 여자에 대해 ‘죄인’ 이라 부르는 경우는 곧 창기를 가리키는 표현이었습니다. ○ 한편 이 여인은 향유 담은 옥합을 가져왔다고 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기름이 아니라 매우 값비싼 향유입니다. 당시 옥합에 담은 향유는 부유한 여인들이 사용하던 것이었습니다. 구하기도 어렵고 비싼 것이라, 한번 개봉하면 그 자리에서 다 소모하여야 했습니다. 그래서 특별한 일이 아니면 개봉하지 않았습니다. 여인이 옥합을 가지고 예수의 뒤로 와서 발 곁에 섰다고 했는데 이는 여인이 자신을 죄인으로 생각했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여인은 눈물로 예수님의 발을 적시고 자신의 머리털로 닦아냅니다.

[누가복음 7:39] 예수를 청한 바리새인이 그것을 보고 마음에 이르되 이 사람이 만일 선지자라면 자기를 만지는 이 여자가 누구며 어떠한 자 곧 죄인인 줄을 알았으리라 하거늘

○ 바리새인 시몬은 이 여인이 들어올 때 누구인지 이미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 죄 많은 여인의 행동을 보며 막아 제지하지 않습니다. 바리새인 시몬은 지금까지는 예수가 실제 선지자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두었지만, 그가 죄인 여자의 행동을 거부 없이 대하는 것을 보면서 선지자라는 생각을 거두게 된 것입니다. 이 순간에 예수님은 누가 묻지도 않았는데 [7:40] “대답하여 가라사대 시몬아 하시며 말씀을 꺼내셨습니다. 예수께서는 바리새인의 마음을 읽고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는 때때로 하나님이 나의 마음을 읽고 있다는 사실을 잊을 때가 있습니다. ○ 하나님은 나의 일거수일투족을 보시며, 작은 신음조차도 빠뜨리지 않고 듣고 계심을 알아야 합니다.

‘시몬아’ 예수께서 바리새인에게 매우 부드러운 어조로 친히 그의 이름을 불러 말씀하십니다. 예수께서 이렇게 상대의 이름을 호격으로 부른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더욱이 바리새인들에 대하여서는 이러한 표현을 한 번도 사용하신 적이 없습니다. 심지어 다른 복음서에서는 바리새인과 율법사들에게 ‘뱀들아’, ‘독사의 새끼들아’ 하시기도 하셨습니다. 그럼에도 예수님의 다정한 이 ‘시몬아’ 부르심은 예수님은 바리새인 시몬의 무지함과 무례함을 잠시 뒤로하고 그에게 회개의 기회를 주시고 계시는 것입니다.

○ 이에 바리새인 시몬은 “선생님 말씀하소서” 하며 ‘선생님’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유대 종교 용어인 ‘랍비’에 상응하는 말로 당시 유대 사회에서 최고의 칭호입니다. 지금 시몬은 죄인인 여자를 대하는 예수를 보고 속으로는 그가 선지자가 아니라 생각하면서도 겉으로는 ‘선생님’ 하며 자신의 감정을 감추고 있는 것입니다. 여인은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였지만 바리새인 시몬은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는 예수님에 대하여 사람들이 부르는 호칭을 똑같이 쓰고, 자신의 집에서 언쟁을 피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시몬은 속으로 자신을 예수님보다 낫게 여기고 끊임없이 예수를 판단하고 평가하는 중이었던 것입니다. ○ 우리는 조심하여야 합니다. 우리가 사람을 평가하고 판단하듯이 불신을 가지고 하나님의 말씀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마음을 가질 때, 말씀은 내 안에 은혜로 머무르지 않는 것입니다. 낮은 자, 가난한 자의 마음으로 듣는 말씀과 부한 자의 마음으로 듣는 말씀은 같을 수 없는 것입니다.

[누가복음 7:41,42] 이르시되 빚 주는 사람에게 빚진 자가 둘이 있어 하나는 오백 데나리온을 졌고 하나는 오십 데나리온을 졌는데 갚을 것이 없으므로 둘 다 탕감하여 주었으니 둘 중에 누가 그를 더 사랑하겠느냐

○ 데나리온이 노동자의 하루 품삯이라는 가치를 고려하면, 오백 데나리온은 1년 반 정도의 빚으로 도저히 갚을 수 없는 돈이 아닙니다. 그런데 ‘오백 데나리온’ 빚진 자가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 했습니다. ‘오십 데나리온’ 빚진 자도 스스로 역시 해결하지 못하여 탕감받아야 하리라 말합니다. 이는 사람이 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누구나 탕감받아야 하고, 용서받아야 하는 존재라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히브리어에 ‘빚’은 ‘죄’라는 말과 같은 의미입니다. 부족함 불 완전함이라는 의미입니다. 사람은 많든 적든 죄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것입니다.

○ 죄가 적은 자가 죄가 많은 자보다 낫다 말하는 것은 우스운 일입니다. 한국 속담에 ‘50보100보’ 라는 말이 있습니다. 적 앞에서 도망치는 자가 자신은 50보만 도망했는데 100보를 도망한 자를 향하여 겁쟁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는 말입니다.

○ 오늘날 대한민국에는 조금 더 가졌다고 조금 배웠다고 자랑하고 사람을 무시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나님 앞에 어디 잘난 사람이 있겠습니까? 사람은 모두 하나님 앞에 부끄러운 존재인고 빚진 존재이며 은혜로 사는 존재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하나님의 긍휼과 용서가 필요하며 하나님 앞에 낮은 자로 겸손해야 합니다.

○ 예수님은 구체적으로 시몬이 무엇을 잘못하였는지를 하나하나 말씀하십니다.

[누가복음 7:44-46] 시몬에게 이르시되 이 여자를 보느냐 내가 네 집에 들어올 때 너는 내게 발 씻을 물도 주지 아니하였으되 이 여자는 눈물로 내 발을 적시고 그 머리털로 닦았으며 너는 내게 입 맞추지 아니하였으되 그는 내가 들어올 때로부터 내 발에 입맞추기를 그치지 아니하였으며 너는 내 머리에 감람유도 붓지 아니하였으되 그는 향유를 내 발에 부었느니라

주님은 ‘네 집에 들어올 때’라는 말씀으로 시작하여 시몬이 주인으로서 손님에게 해야 할 기본적인 예의조차 지키지 않았음을 밝히 말씀하십니다. 너는 내게 발 씻을 물도 주지 아니하였고, 너는 내게 입 맞추지 아니하였고, 너는 내 머리에 감람유도 붓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여자는 눈물로 내 발을 적시고, 내 발에 입 맞추고, 향유를 내 발에 부었느니라

○ 당시 손님의 머리와 몸에 향유를 붓거나 바르는 관습이 있었지만 시몬은 예수님께 당시 가장 값싼 감람유조차 붓지 않았습니다. 시몬은 손님이 오면 내오는 발 씻을 물도 내오지 않았습니다. 왜 내오지 않았을까요? 시몬에게 예수님은 귀한 손님이 아니었습니다. 시몬에게 예수님은 특별한 손님이 아니었습니다. 많은 사람의 추종을 받는 예수라는 사람을 식사자리를 제공하는 자신을 드러내는 것으로 족했습니다. 그래서 시몬은 예수님을 데면데면(马虎) 한 것입니다. ○ 예수님은 말이 없으셨으나 시몬의 행위를 낱낱이 보고 계셨습니다. 시몬이 지금 진심으로 자신을 대하는지, 진심으로 말씀을 듣기 위하여 초청한 것인지, 판단하고 평가하고 의심하는지 보고 계셨습니다.

[누가복음 7:47] 이러므로 내가 네게 말하노니 그의 많은 죄가 사하여졌도다. 이는 그의 사랑함이 많음이라 사함을 받은 일이 적은 자는 적게 사랑하느니라

그의 많은 죄가 사하여졌도다. 이는 그의 사랑함이 많음이라” 이 본문을 두고 천주교에서는 공력설(功力設)을 말하기도 하지만 죄사함은 순수한 하나님의 은혜로 주시는 것이지 결코 사람의 공력을 말할 수 없는 것입니다. ○ 오히려 여인이 많은 사랑을 갖게 된 까닭은 많은 죄사함을 받은 까닭입니다. ○ 그의 죄가 사하여졌도다. 우리가 보듯이 이는 수동태입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그 죄를 사하는 주체인 주어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처럼 주어가 없는 수동태를 히브리어 문법에서는 ‘신적수동태’라 말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행위를 말하는 것입니다. ○ 마태복음 9장에서 친구들이 지붕을 뚫고 중풍병자를 들것 채 내려 치유함을 받은 일이 있습니다.

[마태복음 9:6] “인자가 세상에서 죄를 사하는 권능이 있는 줄을 너희로 알게 하려 하노라.”

이때 예수님은 ‘인자’란 말을 사용하였는데 ‘인자’란 세상의 일반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닌, 마지막 때의 심판자로서 ‘인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죄사함은 오직 하나님께 속한 일인 것입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