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하6:1-11   <하나님의 영광만을>  

━━━━━━━━━━━━━━━━━━━━

사무엘하5장에 보니 1) 다윗이 여부스를 점령하고 산성을 건축하고 다윗성이라 했습니다. 두로 왕의 도움으로 돌로 된 아름다운 성을 건축했습니다. 2) 블레셋 사람들이 다윗이 전체 이스라엘의 왕이 된 소식을 듣고 다윗을 치러 몰려 왔습니다. 골짜기에 가득하였다고 했습니다. 이 때 다윗이 여호와 하나님께 묻습니다. 올라가리이까? 내 손에 넘기시겠나이까? 블레셋 사람을 네 손에 넘기리라. 음성을 듣고 물을 흩음 같이 흩으셨다. 하여 바알브라심이라 하였습니다. 3) 또 블레셋 사람들이 골짜기에 가득 몰려왔습니다. 다윗이 또 하나님께 묻습니다. 뽕나무 숲에 매복하였다가 뽕나무 꼭대기에서 걸음 걷는 소리가 들리거든 공격하라 하십니다. 뽕나무 꼭대기에서 걸음 걷는 소리가 들릴 때 블레셋 사람을 공격하니 크게 승리하였습니다. 다윗이 늘 하나님의 음성을 따라 승리에 승리를 거듭합니다.


○ 다윗은 하나님의 궤를 다윗 성으로 가져오는 일을 착수합니다. 삼만의 군사를 모읍니다. 모든 신하들을 배열합니다. 악대를 동원하여 노래를 부르고 나팔을 크게 울려 댑니다. 바알레 유다에 있는 아비나답의 집에 가서 하나님의 법궤를 웃사와 아효 새 수레에 싣고 소를 몰고, 악대는 높은 소리 나는 제금과 나팔을 울리며 나아갑니다. 뒤에는 삼만의 군대가 칼과 창을 들고 왕을 호위하며 따라갑니다. 그의 백성은 하나님의 법궤가 나아갈 때 환호성을 지릅니다. 다윗은 이 모습을 보며 마음이 들떴습니다. ○ 그런데 이 법궤가 나곤의 타작마당을 지날 때 사건이 생깁니다. 소들이 뛰었고 수레가 흔들렸고 법궤가 수레에서 떨어지려고 할 때 그 수레를 몰고 가던 웃사가 그 법궤에 손을 댐으로 죽습니다. "웃사가 죽었다. 나님이 그를 치셨다. 분하다.” 나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나님의 왕국을 위하여 한 일이 아닌가? 성대하게 하나님을 위하여 최선을 다했는데. 왜 하나님은 이 거국적인 행사를 망치시는가? 나는 백성들 앞에서 위신이 무엇인가? 하나님은 왜 자신의 마음을 이렇게 모르시는가? 이런 하나님을 어찌 섬긴단 말인가? 하면서 분하여 합니다.


▶ 왜 하나님께서 웃사를 치셨을 까요?  하나님께서는 다윗이 하는 일을 기뻐하지 않으신 것인가요? 우연입니까? 1) 표면적인 실수는 하나님의 괘를 옮기는 방식에 있었습니다. (민4:15)에 보면, 법궤는 절대 손대면 안 되고, 레위인 고핫 자손들이 채로 꿰어 어깨에 메고 운반해야 합니다.  2) 좀 더 깊이 살펴보면 다윗의 마음이 하나님의 기쁨을 얻지 못하고, 하나님의 은혜에서 멀어져 있었습니다. 말로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성공을 드러내 보이고, 자신의 신앙을 보이고, 자신의 위엄을 모든 사람 앞에 보이려 한 것입니다. 하나님의 법괘를 다윗 성으로 모시는 거대한 행사는 백성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그는 거대한 행사를 통하여 모든 신하와 군대를 자신 앞에 세우고, 위용을 과시했습니다. 종교 행사를 자신의 정치적 힘을 모으는 도구로 사용한 것입니다. 그는 하나님을 이용하여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려 하고, 하나님의 영광을 가로챈 것입니다.

○ 다윗은 다윗 성으로 가져오려던 법궤를 가져오기를 두려워하여 가드사람 오벧에돔의 집에 놓고 옵니다. 버리고 온 것입니다. 그로부터 3개월 후 소식을 들으니까

[12절] "하나님의 궤를 인해 오벧에돔의 집과 그 모든 소유에 복을 주셨다"


다윗이 보니 하나님의 법궤가 오벧에돔의 집에 머무는 석 달 동안 그 집에는 하나님의 축복이 넘친 것입니다. 무슨 복을 받았는지는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습니다. 아마 자식이 없었는데 자식이 생겼을 수가 있습니다. 병든 자가 병 자리에서 일어났는지도 모릅니다. 그의 재산이 생각지 않게 큰 이득을 보았을 것입니다.  오벧에돔은 어떻게 하나님의 언약궤를 모시고 살았을까요? 다윗이 버리고 간 하나님의 궤를 모시는 것이 두려웠을 것입니다. 그는 말씀가운데 거룩한 삶을 살았을 것입니다. 단지 하나님의 궤가 그 집에 있었다는 그 사실 하나가 축복이었던 것입니다.

다윗은 오벧에돔이 부러웠습니다. 다윗은 오벧에돔의 집이 복을 받는 것을 보면서 자신에게 임했던 하나님의 복에 대하여 생각합니다. 다윗은 하나님이 자신을 어떻게 도와주시고 사랑해 주셨는가? 생각했습니다. 다윗이 하나님께 받은 복은 무엇을 해서 힘써서 공로가 있어서, 얻어진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이 거저 주신 것입니다.

다윗이 왕의 자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입니다. 1) 그는 집의 막내로 태어나, 아버지와 형들에게 인정받지 못하던 목동이었습니다. 2) 아무것도 아닌 사람을 사울왕의 손아귀에서 건졌고, 3) 이방 블레셋의 땅에서 「미친 거지」행세를 할 때도, 구원해 주시고, 4) 좋은 사람, 좋은 장수들을 만나게 하신 하나님, 5) 오늘의 이 자리까지 인도하신 분이 하나님 아닙니까? 이렇게 높여 주었더니 이제는 자기가 대단한 줄로 알고 자신이 하나님을 위하여 무엇인가 하겠다고 하면서 모든 사람 앞에서 선 것입니다. 

 

언젠가 훌륭한 한 교사가 있었습니다. 알파도 잘하고 음악도 잘하고, 조직적으로 행정을 잘합니다. 많은 수의 사람이 모였습니다. 한번은 그들이 미국에 갈 기회가 있었는데 그 사모님이 이런 말을 하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우리도 이만하면 미국여행 할 자격이 있잖아? 누가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공로를 말하고 자격을 말할 수 있겠습니까? 하나님은 내가 주의 일을 하기 전에 이미 충분한 은혜를 베푸신 분이십니다. 내가 나를 평가하고 칭찬과 명예와 대가를 원한다면 이런 사람은 은혜를 잊은 사람입니다.

장차 나를 평가하실 분도 하나님이시고 장차 내게 복을 주실 분도 하나님이십니다. 자격과 평가를 받을 만한 많은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세우시는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내가 얼마나 많은 시간을 드려 얼마나 많은 돈을 사용하여 내가 얼마나 수고하였는데 ‥ 나를 인정해 달라. 나에게 적절한 대우를 해 달라 한다면 교만한 모습입니다. 다윗은 자신이 하나님의 일로 영광을 얻으려 했습니다. 하나님의 일을 통하여 이득을 얻으려 했습니다.

사람이 왜 넘어지고 사람이 왜 불만이 가득해집니까? 내가 나 스스로를 높여 사람들 앞에서 대접받을 자격이 있다. 하고 사람들 앞에서 나의 이익과 권리를 주장할 때 불만에 쌓이는 것입니다.


◎ 어제 산행 중에 중간 휴게소에서 일이 생겼습니다. 두 사람을 태우지 않고 출발한 것입니다. 고속도로에서 멈추거나 차를 돌릴 수 없었습니다. 다행히 뒤에 따라오는 다른 팀의 버스가 있어서 타고와 다음 휴게소에서 함께 할 수 있었습니다. 참 감사하지요? 그런데 뒷차에는 좌석이 없었고 고속도로에서 서서 오는 것이 발각되면 벌금을 내야 합니다. 두 사람은  창피하게도 그는 버스 통로에 몸을 낮추고 올 수밖에 없었지요. 휴게소에서 만나 오는 내내 불만이 가득하여 화를 내고 사람을 나무랍니다. 어찌하든 다른 버스가 있었으니 감사하다고 하면 감사한 것이고, 창피하다면 창피한 것입니다. 왜 다툼이 납니까? 내 마음대로, 내 생각대로, 내 마음에 맞추어 달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늘 내가 부족한 것을 알아야 합니다. “ 모든 것이 값없이 얻어진 은혜로다.”

 - D. L 무디 신앙이 성장하는 크리스천을 쉽게 분간해 내는 방법을 말했습니다. 자신이 한 일에 대한 말을 적게 하며, 자신이 한 일에 대한 평가를 작게 내린다는 것입니다. 태양이 떠 있는 자리에서 별은 빛은 보이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곳에 나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 어느 누구에게도 나 알아달라고 말하지 마세요. 사람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내가 봉사를 하는 것도, 선교를 하는 것도 빚진 마음으로, 감사함 때문에, 사랑하기 때문에 하는 것입니다. 봉사는 보수나 인정 지위를 바라서 일을 하지 않습니다.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는 것입니다. 세상에 많은 일꾼이 있지만 나를 인정해 주시고 나를 세우시는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白麗에게 약간의 지원을 했습니다. 그런데 그녀는 그 모든 지원금을 단체에 내 놓았습니다. 아직도 단체를 생각해서 지원할 생각만 합니다. 내 몫을 생각하고 사람들에게 인정받으려, 내가 무엇 한다고 자랑하지도 않습니다. 한국에 많은 권사님들이 이름도 없이 보수도 없이 수 만 명을 전도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이들은 내가 목사보다 낫지 않냐? 더 많은 일을 하지 않는가? 인정해 달라 말하지 않습니다.


▶ 다윗은 하나님의 값없는 은혜를 깨달았습니다. 다윗은 한없이 기뻤습니다. 다시 법궤를 예루살렘으로 모시기로 작정하였습니다. 온 마음을 다하여 기뻐 찬양하며 힘을 다하여 춤을 추었습니다. 영과 진리라 함은 혼을 다 한다는 것입니다.

[삼하6:12] 다윗이 가서 하나님의 궤를 기쁨으로 메고 오벧에돔의 집에서 다윗성으로 올라갈새 [삼하 6:14-15] 여호와 앞에서 힘을 다하여 춤을 추는데 때에 베 에봇을 입었더라. 다윗과 온 이스라엘 족속이 즐거이 부르며 나팔을 불고 여호와의 궤를 메어 오니라.

 

▶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당신이 지금까지 평생 살아오면서 가장 기뻤던 때가 언제였습니까? 시험에 합격했을 때. 취직이 되었을 때, 결혼 때, 돈을 많이 벌었을 때? 승진했을 때입니까? 금메달 땄을 때일까요? 이 모두는 세상이 주는 기쁨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주시는 기쁨을 구해야 합니다. 다윗은 평생을 살면서 언제 가장 기뻤을까요? 골리앗을 때려눕혔을 때? 전쟁에서 이겼을 때? 왕의 사위가 됐을 때? 이스라엘의 왕으로 추대됐을 때? 내 인생에 가장 값지고 감사한 순간은 하나님을 알았을 때입니다. 하나님을 기뻐해야 합니다. 세상의 그 어느 것으로 인한 기쁨보다 더 큰 기쁨입니다. 이것이 예배자의 모습입니다.


신앙인은 예배중심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많은 사람이 예배를 아주 소홀히 여깁니다. 예배를 위해서 시간을 투자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예배드리러 왔다가도 끝나자마자 달려갑니다. 약속을 해도 예배시간 끝나자마자 만나기로 약속을 합니다. 예배드리는 동안에도 몸은 여기에 와 앉아있는데 마음과 생각은 따로 노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조사한 통계를 보니까 예배시간에 딴 생각하고 앉아있는 사람이 40%나 된다고 합니다. 졸고 앉아 있는 사람도 10% 정도라 합니다.

역사적으로 예배를 거부한 사람이 성공한 예가 없습니다. 그래서 독재자들이 한결같이 예배를 거부하고 핍박하다가 결국에는 망하고 말았습니다. 히틀러가 독일교회로 하여금 자신에게 충성하도록 강요하더니 끝내 망하고 말았습니다. 북한이 무지자들이 예배를 거부하고 예배드리는 것을 방해합니다.


◇ 다윗의 아들 솔로몬은 왕위에 오르자마자 하나님께 일천번제를 드렸습니다. 그 말은 왕으로 취임하자마자 예배부터 드렸다는 말입니다. 하나님 앞에서 이렇게 예쁜 짓을 하면 은혜를 입고 복을 받습니다. ◇ 아브라함도 예배 중심의 사람이었습니다. 평생 동안 그는 가는 곳마다 제단을 쌓았습니다. 하나님은 그와 늘 함께 하셨고 그를 지키셨습니다. 다윗은 예배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예배하는 것을 기뻐했습니다. 예배한다는 것은 하나님 앞에 허리를 굽히는 행동입니다. 예배는 하나님 앞에 나를 낮추고 하나님을 사랑한다. 하나님을 귀중히 여기는 표시입니다. 내가 드러나고 내가 인정받기에 급한 사람은 예배시간이 빨리 지나기를 바라고 기쁨도 없습니다.


▶ 하나님의 언약궤가 예루살렘으로 들어 올 때 왕이 백성들이 보는 앞에서 춤을 추었다고 했습니다. 한 나라의 왕이 춤을 얼마나 잘 추는지 모르지만 치마의 속이 보였던 모양입니다. 그의 아내 사울왕의 딸이 천한 것 멸시합니다.

[삼하6:20하] “이스라엘 왕이 오늘날 어떻게 영화로우신지 방탕한 자가 염치없이 자기의 몸을 드러내는 것처럼 오늘날 그 신복의 계집종의 눈앞에서 몸을 드러내셨도다.”

그것도 왕이 체통 없이 춤을 추고 있습니다. 때때로 말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찬송할 때 박수를 쳐야 하나? 손을 들고 기도해야 하나? 소리 내서 기도해야만 하나? 나의 체면과 사람의 인정은 신앙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다윗은 아마 하나님의 일이라면 춤추는 일 아니라 더한 일이라도 했을 것입니다. 우리는 사람 앞에서는 외모를 꾸미지만 하나님 앞에 나올 때는 자신의 모든 껍데기를 벗습니다. 왕복을 벗어 버립니다. 왕의 권위의식과 인간의 면류관, 자신의 공로라는 인간의 모습으로, 벌거벗은 모습으로 서야 합니다.

○ 하나님 때문이라면, 내가 고난 받는 일이 주어진다 할지라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것이 하나님을 사랑하는 신앙입니다. 자신의 체면도 지위도 다 내려놓아야 합니다.

[삼하 6:22] 내가 이보다 더 낮아져서 스스로 천하게 보일지라도 네가 말한바 계집종에게는 내가 높임을 받으리라 한지라.

○ 다윗은 자기같이 초라한 사람을 선택하시고 축복하신 하나님 앞에 아무 것도 아님을 인정합니다. 주님의 일로 너 낮아지고 부끄러움을 당한다 해도 좋다는 것입니다. 다윗은 오벧에돔을 통해 배웠습니다. 오벧에돔은 말없이 소문없이 하나님의 언약궤를 돌보는 섬김의 삶을 살았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받고자 사모하는 마음을 가졌습니다.

 

♧ 토론제목

나는 나의 기쁨을 구하는가? 하나님의 영광을 구하는가?

내가 드릴 수 있는 감사는 무엇인가?

내가 가장 기뻐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하나님? 혹은 다른 무엇?

하나님의 영광을 구하여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설정

트랙백

댓글